으로 끝나는 세 글자의 단어: 5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49개 🦖세 글자: 56개 네 글자:132개 다섯 글자:28개 여섯 글자 이상:79개 모든 글자:445개

  • 조작 : (1)컴퓨터에 대해서 각종 지시를 주기 위한 장치. 전원의 투입ㆍ절단, 초기화나 시작ㆍ종료 따위의 작동 상태 제어, 컴퓨터 내부 상태의 표시ㆍ변경, 시스템 구성의 표시ㆍ변경 따위의 지시를 준다. 예전에는 패널의 스위치나 램프에 의해 실현하였으나, 현재는 서비스 프로세서의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를 써서 조작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 팔선 : (1)‘팔선상’의 북한어.
  • 보총 : (1)보총의 개머리.
  • 가위 : (1)재판을 열기 전에 피의자를 특정한 장소에 임시로 수감하는 일.
  • 비랑 : (1)‘벼랑’의 방언
  • 양기 : (1)독립운동가ㆍ언론인(1871~1938). 호는 우강(雩岡). 1905년에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주필에 취임하였다. 신민회를 조직하고 미국 의회 의원단에 독립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항일 운동에 헌신하였다.
  • 연회 : (1)연회를 열 때 차려 놓는 탁자.
  • 김경 : (1)철학자(1906~1970). 호는 우암(愚庵). 중국 베이징의 중국 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고려 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저서에 ≪중국 철학 사상사≫, ≪율곡(栗谷) 연구≫ 따위가 있다.
  • 선세 : (1)천으로 사용하기 전에 하는 세탁. 천의 물 빠짐과 수축을 방지하고 올을 바로잡아 준다.
  • 울 세 : (1)세탁기에서, 울 섬유, 모직 의류와 같이 손상되기 쉬운 빨래를 위한 세탁 과정.
  • 영접 : (1)손님을 맞아들여 마주 앉도록 준비한 상.
  • 설계 : (1)설계할 때, 설계 용지나 도면을 받치는 탁자.
  • 웅기 : (1)우산이끼 따위의 이끼류에서 수그루의 엽상체 위에 생기며 조정기를 생성하는 부분. 긴 자루 끝에 원반 모양의 갓이 생기고 그 윗면에 조정기가 생겨 그곳에서 정자가 흘러나온다.
  • 탁중 : (1)탁성보다 한 옥타브 낮은 소리.
  • 주연 : (1)술과 안주를 차려 놓은 큰 상.
  • 보고 : (1)보고자가 이용하도록 놓은 탁자.
  • 초개 : (1)처음으로 어떤 일을 시작함.
  • 산비 : (1)‘산비탈’의 방언
  • 쌀목 : (1)절에서 끼니 때에 밥 지을 쌀을 가져오라고 알리는 목탁.
  • 입우 : (1)‘입천장’의 방언
  • 조종 : (1)컴퓨터나 전기ㆍ통신 기기 따위의 각종 스위치를 한곳에 모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조정용 장치.
  • 위수 : (1)‘위탁’과 ‘수탁’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점풍 : (1)예전에, 바람이 부는 것을 알기 위하여 쓰던 방울.
  • 눈껍 : (1)‘눈꺼풀’의 방언
  • 돈세 : (1)기업의 비자금이나 범죄, 탈세, 뇌물 따위와 관련된 정당하지 못한 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당한 돈처럼 탈바꿈하여 자금 출처의 추적을 어렵게 하는 일.
  • 여울 : (1)‘여울턱’의 북한어.
  • 재세 : (1)주로 기계를 이용하여 더러운 옷이나 피륙 따위를 다시 빠는 일.
  • 헌도 : (1)헌선도무에서, 선도반을 올려놓던 탁자. (2)정재(呈才) 때에 경풍도를 드리는 기구. 선도탁(仙桃卓) 비슷하게 만든 탁자이다.
  • 번뇌 : (1)오탁(五濁)의 하나. 애욕(愛慾)을 탐하여 마음을 괴롭히고 여러 가지 죄를 범하게 됨을 이른다.
  • 보르 : (1)브이오아르(VOR)와 타칸(TACAN)을 합하여 설치한 항법 원조 체계. 비행하는 항공기에 방위를 알려 주는, 초단파를 사용하는 무선 시설에 전술 항법 시스템을 결합한 것이다.
  • 누나 : (1)빙하 지형의 하나. 대륙 빙하에 둘러싸여 있으며, 기반이 암석으로 되어 있다.
  • 석목 : (1)새벽에 사람을 깨우기 위하여 치는 목탁.
  • 헌화 : (1)헌천화병을 올려놓는 탁자.
  • 아구 : (1)‘턱’의 방언
  • 돌림 : (1)‘돌림턱’의 방언
  • 아굴 : (1)‘턱’의 방언
  • 손세 : (1)세탁기를 쓰지 아니하고 손으로 직접 하는 빨래.
  • 비수 : (1)다른 사람의 의뢰나 부탁을 받지 않음. 또는 그런 일.
  • 베랑 : (1)‘낭떠러지’의 방언
  • 왕사 : (1)중국 청나라 때의 학자(1814~1889). 자는 매촌(梅村). 호는 회옹(悔翁). 1840년 거인이 되어 ≪수경주도(水經注圖)≫ 등을 짓는 등 역사 지리 연구에 힘썼으며, 태평천국의 난이 일어나자 호림익(胡林翼)의 막하에서 ≪독사병략(讀史兵略)≫, ≪대청중외일통여지전도(大清中外一統舆地全圖)≫ 등을 편집하고 난을 진압하는 데 힘썼다.
  • 응접 : (1)손님을 맞아들여 접대할 때 쓰는 탁자.
  • 모이 : (1)모이를 뿌려 주도록 둥지에 잇따라 놓은 작은 널빤지.
  • 빙하 : (1)탁자 모양의 넓은 빙원. 빙하의 표면이 햇볕에 녹을 때에 퇴석의 아랫부분이 열을 받지 못하여 녹지 않고 남아서 된 것이다.
  • 무의 : (1)의탁할 곳이 없는 상태.
  • 정진 : (1)중화 인민 공화국의 문학사가(1898~1958). <문학 연구회>의 발기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소설 월보(小說月報)≫를 비롯하여 많은 문학잡지를 편집하였다. 저서에 ≪삽도본(揷圖本) 중국 문학사≫, ≪중국 문학 연구≫가 있다. ⇒규범 표기는 ‘정전둬’이다.
  • 물세 : (1)물로 빨래를 함.
  • 비우 : (1)‘비위’의 방언
  • 일손 : (1)일을 처리하는 솜씨.
  • 씨암 : (1)‘씨암탉’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씨암’으로도 적는다.
  • 진작 : (1)진연(進宴) 때에 임금에게 올리는 술잔을 놓던 탁자.
  • 선 혼 : (1)방사선 조영 시 빛이 잘 통과하지 못하는 부위가 선 모양으로 나타나는 일.
  • 선도 : (1)헌선도무에서, 선도반을 올려놓던 탁자.
  • 소향 : (1)장사를 지내기 전에 칠을 아니하고 쓰는 향탁.
  • 중생 : (1)오탁(五濁)의 하나. 견탁(見濁)과 번뇌탁의 결과로 인간의 과보(果報)가 점점 쇠퇴하고 힘은 약해지며 괴로움과 질병은 많고 복은 적어짐을 이른다.
  • 쌍두 : (1)자루가 달린 종처럼 생긴 아악기. 행군 때에 망치를 오른손에 들고 친다.
  • 진사 : (1)중국 명나라 때의 명의(?~?). 자는 경지(敬之). 호는 원공(遠公). 처음에 유학을 공부하였으나 벼슬에 오르지 못하자 의학에 매진하였으며, 이후 ≪동천오지(洞天奧旨)≫, ≪석실비록(石室秘錄)≫ 등 많은 저작을 남겼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타, 탁, 탄, 탈, 탐, 탑, 탓, 탕, 태, 택, 탬, 탭, 탱, 터, 턱, 턴, 털, 텀, 텅, 텋, 테, 텍, 텐, 텔, 템, 텝, 텡, 텨, 텹, 톄, 토, 톡, 톤, 톨, 톱, 톳, 통, 퇴, 툅, 투, 툭, 툰, 툴, 툼, 툽, 퉁, 퉤, 튀, 튈, 튐, 튝, 트, 틀, 틈, 틉, 틔, 티, 틱, 틴, 팀, 팁

실전 끝말 잇기

탁으로 시작하는 단어 (372개) : 탁, 탁갑, 탁갑하다, 탁강, 탁개항, 탁객, 탁갱, 탁견, 탁고, 탁고기명, 탁고하다, 탁과, 탁과하다, 탁관, 탁관하다, 탁광무, 탁구, 탁구계, 탁구공, 탁구광, 탁구 기능 검사, 탁구단, 탁구단원, 탁구대, 탁구 라켓, 탁구 메카니즘, 탁구반, 탁구 반응, 탁구복, 탁구부 ...
탁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37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탁으로 끝나는 세 글자 단어는 5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